클래식이야기

  • 2025-03-04

[리뷰] [한국경제] KBS교향악단과 도쿄필…언어와 국경을 초월한 2시간을 선사하다

  • FILE DOWNLOAD :             

KBS교향악단과 도쿄필…언어와 국경을 초월한 2시간을 선사하다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KBS교향악단×도쿄필하모닉 공연

 

KBS교향악단과 도쿄필…언어와 국경을 초월한 2시간을 선사하다

 

KBS교향악단과 도쿄필하모닉이 지난 3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만났다.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한 프로젝트로 바로 전날 도쿄 오페라시티에서도 합동공연을 진행했다. 1부는 한국의 피아니스트 선우예권과 일본의 피아니스트 이가라시 카오루코가 모차르트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을 연주했다. 2부는 말러 교향곡 1번이 연주되었다. KBS교향악단의 단원 56명, 도쿄필하모닉의 단원 55명이 함께하며 물리적인 균형을 맞췄고, 지휘자 정명훈이 지휘를 맡으며 이들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주었다.

 

그렇다면 도쿄에서 활동하는 수많은 오케스트라 중에 왜 도쿄필하모닉이 선택되었을까? 정명훈과의 인연 때문이다. 정명훈은 오랜 시간 도쿄필하모닉의 명예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예술이라는 매개로 맺어진 이 관계는 어느 관계보다 특별하다. 특히 도쿄필하모닉과는 최근까지도 한국에서는 잘 시도하지 않았던 다양한 레퍼토리들을 함께 하며, 음악적 비전을 공유해왔다.

 

KBS교향악단과 도쿄필…언어와 국경을 초월한 2시간을 선사하다

 

성과도 대단했다. 일본 매거진 ‘음악의 벗’에선 매년 평단이 최고의 공연을 꼽는데, 2023년엔 정명훈과 도쿄필하모닉의 베르디 ‘오텔로’가 2위를 차지했다. 당시 3위가 베를린 필하모닉의 일본 공연이었으니 정명훈과 도쿄필하모닉이 얼마나 뛰어난 공연을 했는지 알 수 있다. 2024년엔 이들이 함께한 베르디 ‘맥베스’가 그해의 공연 11위에 오르며 역시 엄청난 시너지를 과시했다. 매년 이렇게 마법같은 공연들을 선보이면서도 ‘아직 우리의 전성기는 오지 않았다’는 도쿄필하모닉 단원들의 말에서 그들의 관계가 얼마나 특별한지 짐작할 수 있다.

 

이날 합동공연의 1부는 모차르트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이었다. 두 피아니스트는 특별한 개성을 드러내기보다 모차르트 작품 곳곳에 불을 비추며 작품을 조망했다. 서로의 소리를 듣는 과정도 즐거웠지만, 오케스트라 각 악기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합을 맞추는 일 자체가 즐거워 보였다. 앙코르는 두 피아니스트가 나란히 앉아 연주하는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 5번을 선택했다.

 

이어진 2부 말러 교향곡 1번에선 악장뿐만 아니라 주요 악기의 수석들도 대부분 도쿄필하모닉의 단원들이 맡았다. 도쿄필하모닉이 어떤 오케스트라보다도 정명훈의 음악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들은 정명훈이 원하는 음악이라면 한 몸 던져 헌신할 각오가 되어 있었다. 덕분에 지난 2월 KBS교향악단이 말러를 연주할 때 보다 저음현이 강화되었고, 목관악기가 존재감을 드러냈다. 매순간 예쁘게 다듬어진 소리가 흘러 나온건 아니지만, 다른 악기들 사이에서도 자신의 존재를 뚜렷하게 알려주는 건강한 소리였다. 이들은 KBS교향악단과 함께 멋지게 음악을 만들었다.

 

KBS교향악단과 도쿄필…언어와 국경을 초월한 2시간을 선사하다

 

물론 조금은 느슨한 앙상블로 난항을 겪기도 했다. 다양한 악기들이 동시에 다른 주제들을 연주할 때, 소리가 선명하지 않고 불투명하게 들리는 순간들이 있었다. 특히 말러의 음악은 다양한 캐릭터들이 여기저기 동시에 등장해 내러티브를 만드는 경우가 많아, 그때마다 서사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다고 느껴졌다. 그럼에도 정명훈의 말러에 대한 비범한 접근이 음악에 몰입할 수 있게 만들었다. 서울시향과 함께한 지난 시절과는 말러 해석이 많이 달라졌다. 그때보다 세부적인 사항들이 촘촘하진 않지만, 더욱 깊은 음악이 만들어졌다. 예상하지 못하는 순간에 등장한 비범한 연출이 관객들을 훅 끌어당기기도 했다. 특히 마지막 악장에서 정명훈 특유의 감정을 고양시키는 방법은 더욱 진해진 그만의 해석이었다. 정명훈은 타고난 말러 해석가다.

 

물론 공연에 의문이 들 수도 있다. KBS교향악단 56명, 도쿄필하모닉 55명, 이렇게 숫자를 기계적으로 맞춘다는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단일 오케스트라의 연주보다 과연 더 나은 연주를 담보할까? 아니면 더 대단한 예술적 성취가 있을까? 아마 아닐 것이다. 그렇지만 적어도 두 오케스트라가 연주를 하는 2시간 동안은 두 국가가 한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언어와 국경을 초월했다. 음악 안에선 한국과 일본이 더이상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그 자체만으로도 특별한 시간이었다.

 

이번 공연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롯데그룹 후원으로 마련됐다. 이날 리셉션 행사에 참석한 지휘자 정명훈은 "두 나라가 음악이 주는 메시지를 생각하며 더 가까워지길 바란다"며 "의미 있는 공연을 후원해 준 기업에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허명현 음악칼럼니스트

출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041297i